용두장식 목제등경 (한국의등잔) 용두장식 목제등경 새대: 조선후기 자료제공: 한국등잔박물관 등경의 하단부는 2 단으로 된 팔각받침에 8 개의 다리를 만들고 받침 윗면을 반달모양으로 파서 용의 머리를 조각한 등잔 기둥을 세워 고정시켰다. 전문 장인의 솜씨를 느낄수 있으며 전체 적인 균형이 매우 잘 잡혀 있다. 명화(名畵) 2008.10.23
목제등경 (한국의등잔) 목제등경 시대: 조선후기 규격: 높이 50 ㎝ 자료제공: 한국등잔박물관 상하귀천의 구별없이 가장 애용된 실내 등기 양식으로 각 가정에서 필요에 따라 자가제작 하였으므로 매우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명화(名畵) 2008.10.23
백자쌍심지 / 백자 4 심지등잔 (한국의등잔) 백자쌍심지 (좌) / 백자 4 심지등잔 (우) 시대: 조선후기 규격: 높이 18㎝ (좌). 22㎝ (우) 자료제공: 한국등잔박물관 석유 수입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석유의 인화성 때문에 등잔의 뚜껑위로 심지를 뽑아 올려서 사용한 것이다. 유입 초기에는 궁궐에서 사용되다가 점차 양반가와 중인, 그리고 서민들에.. 명화(名畵) 2008.10.23
화촉 (한국의등잔) 화촉(華燭). 밀초 시대: 조선후기 규격: 높이 22㎝. 밑지름: 4.5㎝ 자료제공: 한국등잔박물관 화촉은 빛깔들인 밀초로, 혼례 때 신랑신부가 함께 자 는 방을 화촉동방(華燭洞房). 혼례 때 사용하는 여러가지 기구를 화촉지구(華燭之具)라고 하는등. 화촉은 일반적으로 혼례를 상징하는 물건이 되었다. (빛.. 명화(名畵) 2008.10.23